룬닥스 LPC 원단 제작 과정
안녕하세요. 산수유람입니다.
오늘은 LPC 원단의 원료를 보여드리며 LPC 원단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 LPC 원단이란?
Lundhags, Polyester, Cotton의 약자로써 버려진 페트병을 활용한 리싸이클 폴리에스터 65%와 지속적으로 땅이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유기농 기법으로 재배한 오가닉코튼 35%가 혼방된 원단입니다.
환경을 생각하여 제작된 원단이지만 기능면에서도 탁월합니다.
튼튼한 내구성, 쾌적함, 주름이 잘 가지 않고 기계 세탁도 가능하여 관리가 편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LPC 원단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설명해보겠습니다.
"리싸이클 폴리에스터 제작"
배달 음식, 식품 포장, 커피, 용품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에게 편리함을 줬던 플라스틱은 이제 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부끄럽지만 대한민국은 포장에 쓰는 플라스틱 사용량은 세계 2위에 폐플라스틱을 실질적으로 재활용 하는 비율은 22%에 그칩니다.
수도권 매립지는 더 이상 플라스틱을 묻을 자리가 없어 폐기물 처리도 불가능해 플라스틱 사용치가 한계점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순히 1회성으로 쓰고 버려진 폐페트병이 원료가 된 모습입니다.
기존 폴리에스터는 석유화합물로 만들기 때문에 환경에 큰 피해를 끼치는 반면 버려졌던 것을 재활용하면
석유화합물 생산을 줄여주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줍니다.
수많은 칩이 모여 열이 가해져 흐물거리는 반고체 형태로 바뀝니다.
이 반고체 형태를 쭉 뽑아내어 긴 실로 만들어 냅니다.
그럼 리싸이클 폴리에스터는 섬유가 되어 LPC 원단이 될 준비를 마쳤습니다.
"오가닉 코튼 제작 과정 "
하지만 일반적으로 재배된 목화는 전혀 친환경적이지 않습니다.
목화를 재배할 때 수많은 해충이 달라 붙고 쉽게 자라지 않아 합성 비료, 토양 첨가제, 고엽제, 해충제 등을 사용합니다.
이로 인해 땅은 오염되고 생태계 먹이사슬, 환경 체계를 파괴됩니다.
면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함께 했습니다. 그렇기에 대안이 필요합니다.
해결책은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 기법으로 목화를 재배하는 것입니다.
"섬유 뭉치에서 실이 되는 과정"



- Makke pro pant

- Authentic pant
- Authentic jacket
- Fulu cargo stretch hybrid pant
이하
- Knak pant
- Knak pile parka
- Habe jacket
- Vanner pant
- Lykka zipoff pant
- Nybo pant
- Gnaur backpack
제품도 LPC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
- 1